2018년 회고
벌써 2018년이 다 지났다. 앞으로 매년간 한해를 돌아보는 회고를 작성하고자 한다. 이게 첫 시작이다 :)
2018년 TODO List
- [ ] 테스트프레임웍 (Mocha, Jest, etc..) 실무에 써보기.
- [ ] 서버사이드 렌더링 실무에 써보기.
- [x] 자신의 힘만으로 온전한 프로젝트를 만들기.
- [x] 오픈소스 활동 참여하기.
- [ ] 컨퍼런스 경험하기.
- [x] 프론트엔드 영역에 대한 깊은 지식.
테스트프레임웍 (Mocha, Jest, etc..) 실무에 써보기.
노루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나밖에 없다. 신규 프로젝트 개발도 해야하고 내가 개발한 노루의 아키텍쳐도 수정할게 너무 많이 보이는 지금 테스트도입은 그림의 떡이다.
서버사이드 렌더링 실무에 써보기.
현재 노루는 Angular로 되어있고 AI Interview는 Vue로 되어있다. Nuxt와 Angular Universal을 도입할 수 있었는데 프로젝트 특성상 SEO가 중요하지 않음으로 도입하지 않았다. React + Next의 조합은 하는 사람도 많고 후기도 간간이 들려오기에 부담스럽지 않았지만 Angular Universal같은 경우는 예제도 많이 없었다.
자신의 힘만으로 온전한 프로젝트를 만들기.
정말 원없이 했다. 엎어진 프로젝트를 포함 4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는데 깨닫는게 정말 많았다. 혼자 개발을 할때 중요한 점은 신중한 선택과 빠른 생산성이다.
흔히들 Angular와 React 그리고 Vue 중 어느게 제일 좋나요? 가 핫한 질문인데 3개 다 사용해본 입장으로써 말해보자면 다 똑같다. 프레임워크는 죄가 없다. 어차피 개발하다 보면 하나부터 끝까지 전부 구현해야한다.
Angular로 개발하면서 느낀 단점은 문서가 너무 빈약하단 점과 다른 프레임웍과 달리 Module이란 개념을 탑재했는데 왜 굳이 Module을 만들었는지 모르겠다. Module별로 레이지로딩을 지원하는것도 아니고.. 코드 양만 길어진다.
협업을 하면서 느낀 점은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아닌 백엔드, 서버 개발자들은 JS에 대해 정말 하나도 모른다는 것이었다. 변수 앞에 var
도 안붙이는게 태반이었고 코딩 스타일은 신기한 것들이 많았다. Prettier가 없었다면 정말 한숨만 나왔을 것이다.
오픈소스 활동 참여하기.
업무중 TUI Chart에서 애니메이션 에러가 나서 수정했다. 또 현재 깃허브에서 사용중인 Minos 테마에 코드를 복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오픈소스 시작 치고 나쁘지 않은것 같다. 적당한 오픈소스 프레임웍 하나 까고 싶은데 고민이다.
컨퍼런스 경험하기.
FEConf에 가고싶어서 티켓팅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판매사 사이트가 터졌다. 그래서 다음날로 밀렸는데 일하느라 티켓팅에 실패했다.
GDC Frontend에 갈려고 티켓을 구매했는데 당일 응급실에 가서 2만원 날려먹었다.
컨퍼런스와는 인연이 없는 해인듯 하다.
프론트엔드 영역에 대한 깊은 지식.
혼자 프론트엔드 업무를 전담하다 보니 생산성과 탄탄한 설계 중 어느 부분에서 멈춰야 할지에 대한 생각이 많았다. 페이스북 또는 구글같이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아직 알고싶은 것들이 너무나 많다.
2019년 TODO List
- [ ] 테스트프레임웍 (Mocha, Jest, etc..) 실무에 써보기.
- [ ] 서버사이드 렌더링 실무에 써보기.
- [ ] 컨퍼런스 참여하기.
- [ ] 오픈소스 프로젝트 만들기.
- [ ] 헥소 테마 만들던 것 마무리 하기.
블로그 결산
2018년에는 총 14개의 포스트를 작성했다. 총 사용자 수는 3700 총 세션 수는 4700이다. 별도로 홍보한적은 거의 없음으로 이정도면 양호한 수준인것 같다.
블로그를 하면서 느낀건 제목을 잘 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바스크립트 배열 중복 제거하기에서 총 2394의 뷰가 있었는데 자바스크립트 이론 공부 1에서는 뷰가 거의 없었다.
내년에는 글의 수 보다는 글의 질에 더 신경을 쓰면서 포스팅을 해야겠다.
Written with StackEdit.